티스토리 뷰
인간이 원숭이와 다른 점은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영장류들도 수공구를 사용하였다는 증거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현재 일반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특수한 용도로 만들어진 수공가가 무수히 많지만 최근까지만 해도 인간공학에서는 복잡한 장치에만 중점을 두었습니다.
오랜 기간 사용한 수공기들은 사람들이 사용하기에 아주 적절한 것이라고 생각하여 무관심하였지만 실제로 몇백만 년이라는 시간 자체가 수공구의 설계가 적절하다는 것을 보증하는 것은 아닙니다. 몇몇 종류는 사람이 다루기에 효율적이거나 안전하게 설계되지 않은 것도 있습니다.
부적절한 설는 사고와 상해와 같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정부기관에서 수공구에 의한 산업재해에 관해 조사하였는데 수공구에 의한 상해가 모든 작업에서 발생하는 상해 중 9% 정도 차지하였습니다. 미국에서는 수공구에 의한 사고가 매년 26만 건에 달하며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가장 많이 상해를 입히는 수공구는 칼, 렌치, 망치 등이며 대부분 손가락을 가격한다던가 베이는 등 단순외상이 많다 하지만 부적절한 수공구의 설계는 누적된 피로로 인한 상해도 입힐 수 있습니다. 이런 누적된 피로 손상은 수공구를 반복 사용하는 직무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수공구를 적절하게 설계하려면 기술적인 측면, 인간 해부학, 운동 생리학, 인체 측정학, 위생학에 관해 여러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수공구를 사용하는 사람이 어떤 환경에서 사용하는지 반드시 고려한 설계를 해야합니다.
수공구 사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훈련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러한 훈련을 소홀히 합니다.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망치, 플라이어, 렌치, 니퍼 등의 사용법을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이러한 수공구를 제대로 다루는 방법을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해당 수공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대로 훈련시킨다면 상해 발생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사람의 손
사람의 손은 매우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많은 뼈와 신경, 인대, 건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매우 복잡한 움직임이 가능합니다. 수공구의 설계에 있어 이런 손의 구조를 잘 이해해야 수공구의 부적절한 설계의 결과를 피할 수 있습니다.
수공구를 다룰 때는 대개 손으로 상당한 힘을 가하는데 플라이어를 꽉 잡거나 드라이버나 라쳇으로 너트를 푸는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상당한 압착력이 손바닥에 집중됩니다. 이런 동작으로 손잡이가 손바닥을 파고들어 동맥으로의 혈류를 방해하여 손가락이 저리고 쑤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손잡이의 접촉면적을 크게 설계하여 힘이 국소부위에 가해지지 않고 넓은 면적에 분배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와 비슷한 예로 망치질을 들 수 있는데 이 행위는 동맥, 신경, 건을 손상시킬 뿐 아니라 망치질을 할 때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신체의 다른 부위에 전달돼 상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안전한 조작을 위한 설계
안전조작을 할 수 있도록 수공구를 설계하려면 예리한 모서리나 물림점을 제거해야 합니다. 물림점에 보호장치를 설치하거나 정지 장치를 설치하면 손잡이가 완전히 닫혀서 손바닥이 물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예리한 모서리나 끝은 갈아서 뭉뚝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전기톱이나 드릴과 같은 동력을 이용한 수공구의 경우 제동장치를 설치하여 방아쇠를 놓게 되면 즉시 날이 멈추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작동 스위치를 적절한 위치에 설치한다면 해당 수공구로 인한 사고를 줄일 수 있습니다. 추가로 사용자가 해당 연장을 사용하는 방법 및 잘못 사용하는 방법에 관해 자세하게 알아야 합니다.
여성 사용자와 왼손잡이에 대한 고려
세계 인구의 반은 여자이며 왼손잡이는 8~10% 정도 됩니다. 하지만 수공구를 설계할 시 이들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여성의 평균 손 길이는 남자보다 2cm 정도 짧습니다. 또한 여성의 악력은 남성의 2/3 수준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수공구를 설계해야 합니다.
왼손잡이도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연장 중에 일부는 왼손잡이를 염두에 두지 않고 설계한 것들이 많은데 이 또한 고려해야만 합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리적 공간의 구성요소 배열 (0) | 2021.07.26 |
---|---|
작업공간의 설계와 자세 (0) | 2021.07.22 |
운동 응답의 조절과 습득 (0) | 2021.07.21 |
운동기량 (0) | 2021.07.20 |
자동차 소모품 교체주기 알아보기 (0) | 2021.04.03 |